OSI 7계층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만든 네트워크 전역을 7개의 계층으로 설명하는 모델이다.
7 계층은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1. 물리 계층
물리 계층은 케이블이나 여러 물리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0과 1로 전송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굉장히 복잡한 단계로 뽑힌다.
단순 정보 전달이 가장 중요한 단계로, 오류 제어를 하지는 않는다.
2. 데이터 링크 계층
point to point 에서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다.
따라서 CRC 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가 필요하다.
이 때 주소 값은 물리적인 MAC 주소를 사용한다.
3.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IP 주소를 부여받는 단계이다.
네트워크는 상당히 많은 노드를 거치게 되기 때문에 한가지로 설명하기 어렵고, 그냥 여러 노드를 빠르고 안전하게 오가는 것이 중요한 계층이다.
또한 여러 노드 사이에서 길(route)를 찾는 일도 하는데, 따라서 이 계층에서 사용하는 장비 중 대표적인 것이 라우터이다.
4. 전송 계층
end to end 에서 오류 검출을 통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왔는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다면 재발신을 요청하는 등의 일을 한다.
TCP, UDP가 대표적인 프로토콜이다.
5. 세션 계층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 계층이다.
가장 쉬운 이해는 우리의 운영체제이다.
여러 응용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연결을 다루는 것이 세션 계층인 것이다.
6. 표현 계층
전달 받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사용하기 좋게 만들거나, 인코딩하여 전송하기 좋게 만든다.
7. 응용 계층
HTTP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이는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계층이다.
OSI 7계층을 간략하게 적어보았다.
내가 비전공자인 데다가 자세히 아는 내용이 없어서 단순 정보 전달이 되어버렸는데
앞으로 더 열심히 해서 cs도 충분히 보완해야 하겠다...
'CS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R과 SSR의 차이 (0) | 2022.01.23 |
---|---|
네트워크 1.2 웹 서버의 IP주소를 DNS 서버에 조회한다. (0) | 2021.12.31 |
네트워크 1.1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작성한다. (0) | 2021.12.27 |
웹사이트 렌더링은 어떻게 되는가? (2) | 2021.12.10 |
google.com으로 들어갈 때 발생하는 일 (4)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