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메뉴

    Tonkatsu
    Developer Lee
    Tonkatsu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2)
      • Frontend (7)
        • React (3)
        • JavaScript (3)
        • HTML\CSS (1)
        • etc (0)
      • Backend (0)
        • Python\Django (0)
        • etc (0)
      • CS (32)
        • Algorithm\Coding Test (19)
        • Computer Science (8)
        • devops (5)
        • etc (0)
      • Languages (5)
        • Javascript (5)
        • Python (0)
        • etc (0)
      • 비상다반 (3)
      • 학원 (4)

    인기 글

    태그

    • js
    • 프론트엔드
    • 리트코드
    • 코테
    • fetch
    • CSS
    • 네트워크
    • CS
    • 프로그래머스
    • 자바스크립트
    • DFS
    • HTML
    • Push
    • BFS
    • 코딩테스트
    • Git
    • leetcode
    • javascript
    • merge
    • 백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Tonkatsu

    Developer Lee

    git-개인 repo clone, add, commit, push
    CS/devops

    git-개인 repo clone, add, commit, push

    2021. 11. 24. 05:02

     

    '본 글은 mac 시스템에서 돌아감.'

     

    git은 버전관리 시스템이다.

     

    git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에 쓰겠다.

    여기서는 그냥 git 사용법만 알아볼 것이다.

    가장 먼저 할 것은 git과 로컬을 연동하고 repo를 만드는 것인데, 그것도 나중에 알아보겠다.

    (한번에 하기에는 양이 너무 광범위하다.)

     

    github에서 repo를 만들고 나면 그 repo의 (gitlab 등의 사이트도 물론 가능하다.) Clone을 가져올 수 있다.

    원하는 링크를 선택하면 터미널을 이용해 %git clone {주소} 를 적는다.

     

    github에서 직접 주소를 복사할 수 있다.

     

    터미널 명령어 예시

     

    그러고 나면 해당 repo가 폴더로 생성된다.

    그 해당 폴더로 들어가 % ls -a 를 입력하면 .git 파일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it

    해당 파일이 git의 기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파일이다.

    어떤 방식으로든 해당 폴더안의 파일을 수정하게 되면 git add를 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git status를 해보자.

     

    빨간색으로 보이는 파일이 수정을 진행한 파일이고, 아직 add 되어있지 않다고 알리고 있다.

     

    %git add {파일} 로 add를 진행한다.

     

    그 후 다시 %git status를 하면 빨간색 파일이 add되어 commit을 기다리는 초록색 파일이 되어있다.

     

    바로 %git commit을 진행해준다.

     

    어떤 에디터를 설정해 놓았는지에 따라 다른 에디터가 열리는데, 나는 vim을 설정해 놓아서 %git commit시 vim으로 commit을 한다.

     

    원하는 commit을 쓰면 그대로 커밋이 진행될 것이다.

    커밋이 완료된 상태

    다시 %git status로 상태를 확인하면

    이미 commit이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출력된다.

     

    이제 push가 가능할 것이다.

    바로 %git push로 push를 진행한다.

    이러면 깃 클론, 애드, 커밋, 푸쉬까지 완성된 상태이다!

    협업이 아닌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이것으로도 충분하다.

     

    "아님 말고..."

     

    현업에서 필요한 거, 버전 백 하는법, gui 쓰는 법 등등 하고 싶은게 너무 많아서 이번엔 가장 사용성이 높은 것만 올렸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CS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reset : 되돌리기  (0) 2022.01.06
    git flow-다른 fork에서 fetch merge하기  (0) 2021.11.30
    git-git flow 사용하기  (0) 2021.11.26
    git-commit convention  (0) 2021.11.25
      'CS/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it-reset : 되돌리기
      • git flow-다른 fork에서 fetch merge하기
      • git-git flow 사용하기
      • git-commit convention
      Tonkatsu
      Tonkatsu
      한 번 뿐인 인생 편하게 살고싶지만 그러려면 열심히 살아야 되니까 열심히 살려고 노력은 하지만 편하게 사는 사람

      티스토리툴바